반도체공학과
- 작성자
- 용산진학
반도체공학과
● 반도체공학과는?
- 반도체 소자/설계/공정/시스템/SW를 아우르는 융복합 이론 및 실습
- 반도체의 작동 원리, 반도체 설계, 제조에 필요한 공정이나 과정, 새로운 장비와 설비, 최신 기술 등 소자-설계-제조 간 종적 융합을 반영한 교육
● 학과에 적합한 학생 : 수학과 과학 교과목에 대한 충분한 학습을 한 학생,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학생, 반도체에 관심을 가진 학생
● 학과 키워드 : 반도체, 회로, 소자, 전자, 시스템, 소프트웨어
● 졸업 후 진로
- 반도체 기업 : 삼성전자, SK하이닉스, DB하이텍 등
- 팹리스(반도체칩 설계),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기업, 반도체 장비 기업 등
- 디스플레이, 자동차 산업 : 삼성디스플레이, LG디스플레이, 현대자동차, 현대모비스 등
- 학계 및 연구기관 : 한국과학기술연구원(KIST), 한국전자통신연구원(ETRI), 한국표준과학연구원(KRISS), 전자부품연구원(KETI) 등 반도체 분야 연구기관
- 정부 및 공공기관 :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한국정보화진흥원 등
● 관련학과(출처: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)
- AI반도체융합전공, AI반도체융합학부, 글로벌반도체공학과, 나노반도체공학과, 나노융합스쿨, 디스플레이・반도체물리학과, 디스플레이・반도체물리학부,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,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, 디스플레이학과, 물리반도체과학부, 반도체・디스플레이학과, 반도체・에너지공학과, 반도체・디스플레이학부, 반도체공학과, 반도체공학부(반도체・디스플레이전공), 반도체공학부(반도체설계전공), 반도체공학전공, 반도체과학과, 반도체과학기술학과, 반도체과학전공, 반도체기계공학과, 반도체기계시스템공학과, 반도체디스플레이전공, 반도체디스플레이학과, 반도체물리전공, 반도체시스템공학과, 반도체시스템공학부, 반도체시스템융합공학전공, 반도체시스템전공, 반도체응용물리학과, 반도체장비공학과, 반도체전자공학과, 반도체정보공학전공, 반도체학과, 반도체학전공, 시스템반도체공학과, 시스템반도체공학전공, 전기반도체컴퓨터학부, 전자공학부(차세대반도체전공), 전자전기정보공학부(나노반도체공학전공), 지능형반도체공학과, 차세대반도체학과, 화합물반도체공학과
※ 참고 자료 및 출처: 수도권 소재 대학교 관련 학과 홈페이지